ENTP 개발자 가능?
모두콘 2023 모두연 DAO 만들기 : 커뮤니티에서 자율적 조직으로 본문
IT&인공지능 세미나

모두콘 2023 모두연 DAO 만들기 : 커뮤니티에서 자율적 조직으로

Careless 2023. 12. 9.

한재선(Jason Han)

 

현) LTGLAB 대표

 

모두의 연구소

 

- LAB

- 풀잎스쿨

 

모두연 사업의 핵심은 커뮤니티

 

270+ 연구모임

5000+ 활동 연구원

 

보상으로 모두연 주식을 주는 건 어때?

 

> LAB을 개설하고 잘 운영했더니 모두연 주식 10주를 받았어요

> 풀잎스쿨을 개설하고 잘 운영했더니 모두연 주식 10주를 받았어요.

 

주식을 받으면 좋아할까?

주식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1) 미래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2) 나도 모두연의 주주

 

현재

 

모두연은 비상장회사

모두연 주식은 비상장주식(거래불가)

 

 

 

미래

 

모두연이 상장됟거나 M&A되는 경우

주식을 현금화 가능함

 

모두연 주식을 받는다는 것은 모두연과 한배를 타게 되는 것

(Long-Term Incentive 역할)

 

 

기여 - 모두연 성공에 기여

보상 - 기여한 만큼 보상

 

모두연 DAO

(탈중앙화 자율조직) 모두연의 커뮤니티, 직원 등 이해관계자들을 조직화

 

랩짱, 퍼실이, 연구원, 직원, 기타 등등

 

이해관계자(Stakeholders)와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기업이 주주가치뿐 아니라 모든 이해관계자의 가치, 나아가서 사회 전반의 가치 극대화를 추구

 

 

주주자본의 부작용

 

>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 개선

 

고객 : 플랫폼 시대 핵심 이해관계자

 

플랫폼 시대에는 고객의 역할이 사업 성공에 핵심 (소비자이자 생산자)

 

Co-creation(Contents) - Youtube

Geek 이코노미 - Uber

커뮤니티 서비스 - 모두의연구소

 

고객(유저)을 충분히 활용하고 대우하고 있는가?

 

단기 보상(Short-Term Incentive)

 

무료 서비스, 수익 쉐어, 급여, 간접적 보상(평판)  = 서비스 이용 유도

 

+

 

장기 보상(Long-Term Incentive)

 

주식 부여, 영업이익 쉐어, 간접적 보상(사업 참여, 브랜딩 등) = 고객 로열티 강화

 

가설

 

고객에게 장기적 보상을 부여하면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사업 성공에 기여할 것이다.

 

이해관계자 DAO : 고객 커뮤니티 조직화

 

고객 등의 이해관계자를 조직화하여 사업에 기여하고 그에 대해 보상 받을 수 있는 환경 제공

-> 이해관계자를 사업의 강력한 우군(팬클럽)으로 만듬

 

기여 예시

- 개선 제안, 피드백, 홍보, 시장/고객 센싱, 고객 유치, 서비스 이용 등등

 

이해관계자 DAO >  사업에 기여 > Company

Company > 주식으로 보상 > 이해관계자 DAO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탈중앙화 자율 조직

 

  • 새로운 조직 구조와 거버넌스 실험
  • 리더나 이사회 없이 모두가 의사 결정(투표)에 참여
  • 투표권으로서 거버넌스 토큰 보유 필요
  • DAO 실행 예산으로서 가상자산을 Treasury에 보관
  • 이 모든 과정이 블록체인에 프로그램화(스마트 컨트랙트) 투명하게 공개 및 실행

How DAO Works

 

제안 등록 / 실행코드

 

온체인 투표 / 거버넌스 토큰

 

블록체인에서 자동 집계

 

통과된 경우 제안 코드 자동 실행

 

 

 

 

 

모든 과정이 블록체인 위에서 투명하게 기록 및 실행

> 인간이 개입하여 조작/변경할 수 없음

-> Programmed Governance

 

기존 DAO와 차이점

 

1. 회사와 페어링될 때만 의미를 가짐

 

 

 

기존 DAO와 유사점

 

1. 자율적인 거버넌스

2. 블록체인 기반으로 프로그램된 거버넌스와 기여 측정(신뢰)

3. 블록체인 기반으로 정보의 투명성

 

이해관계자 DAO는 세계 최초의 실험

 

주식회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법적인 부분이 복잡하다.

 

지분을 지금 주는게 아니다. 모두의 연구소가 상장이 될 때 드리겠습니다. 하면서 일정 포션의 지분을 파킹시켜놓는다.

 

이 지분은 묶이기 때문에 (계약) 마음대로 못한다.

 

DAO 거버넌스

 

회사와 독립적인 자율적인 거버넌스

 

독립적이고 자율적이어야 균형있는 기여 가능

블록체인 기반의 투명한 투표에 의한 의사 결정

 

DAO 거버넌스 예시 : 모두연 기여 제안

 

기여 측정과 보상 (답이 없는 문제)

 

기여 측정의 원칙

 

  • 최대한 정량적으로 측정
  • 최대한 인간의 개입없이 룰(프로그램)에 의해 측정
  • 완벽하게 투명하게 기여를 기록하고 측정 로직을 공개해 운영

기여 측정 방식의 목표

  • 기여측정(평가)은 모두가 만족할 수 없다
  • 불만이 나오더라도 그 화살이 모두연이나 사람에게 가도록 하지 않는 것. 불만은 시스템(측정 로직)에 가도록 한다
  • 시스템은 합의(거버넌스)에 의해 바뀔 수 있음

 

 

 

기여 보상

 

기여 보상 원칙

 

  • 보상은 부여의 개념이 아니라 획득의 개념이 되어야 가치를 가짐
  • 보상이 보상으로서 느껴질 수 있도록 설계 (금전적 가치를 넘어선 가체 설계)
  • 보상이라는 외적 동기로 인해 내적 동기가 훼손되는걸 최대한 막아야 함
  • 형평성과 공정성 이슈가 없도록 해야 함 (free rider 이슈)

 

기여 보상 방식

 

  • 미래 주식을 기본으로 하되 다양한 보상 적용 (평판 점수, 인증 배지, 굿즈, 상 등)
  • 단기 보상과 장기 보상을 혼합하여 설계
  • 보상 설계의 주체와 대상을 분리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