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두수의곱
- 김승일대표
- 아이펠
- 나이출력
- 모두의연구소
- Lab
- 파이썬코딩테스트
- 모두콘2022
- 풀잎스쿨
- 두수의차
- 프로그래머스 스쿨
- MODUCON
- 소프트맥스함수
- 온라인스터디1기
- 특허특강 #지적재산권 #특허
- MODUCON2022
- 파이썬3
- 김승일소장
- 활성화함수
- 숫자 비교하기
- 모두콘
- 나머지 구하기
- 몫구하기
- 시그모이드함수
- 코칭스터디10기
- 코딩테스트 연습
- ReLU함수
- 두수의합
- 모두팝
- 코칭스터디
- Today
- Total

방법 1. think aloud 소리내서 말하기 2. wireframe 낙서(끄적끄적) PSST / NABC WHW > WHat How WHY 사업계획서 작성 방법 효율의 정석 발표를 먼저해보고 > 내용파악하고 > 정의한다음에 > 보고서를작성하라 발표 시간을 평소에 맞추고 준비해야된다. 7분 발표면 7분발표, 3분발표, 5분발표로 하다보면 프레임만 잡힌다. 7분발표, 3분발표, 5분발표 이 사이클을 한텀으로 잡고 반복하다보면 개선되기 시작한다. 페이퍼로 하면 디자인에 집중하게되어 큰게 안보인다. PT용 PPT A4용지 가로로 쓰고 연필과 지우개를 쓴다. 처음엔 파워포인트로 하지말고 손으로 해라 파워포인트로 하더라도, 디자인에 신경쓰는 순간 본질을 놓친다. 뼈부터 신경써야 한다. 파워포인트는 1장당 20-..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목차 시작하면서 1장 UX 라이팅, UX 라이터 1-1UX 라이팅: 어느 날 서비스가 말했다 1-2UX 라이터: 정보 설계자이자 관리자, 언어 전문가, 작가, 문제 해결사 1-3챗GPT는 UX 라이팅을 어떻게 바꿀까? 2장 UX 라이팅 기본 원칙 2-1살아남고 싶다면 UX 라이팅 원칙을 지켜라 2-2정확하게 쓴다: 도로 표지판이 거짓말을 한다면? 2-3간결하게 쓴다: 투머치 토커 입장 금지 2-4일관되게 쓴다: 다중 인격자처럼 보이지 않는 법 3장 보이스와 톤 서비스의 목소리 더빙하기 3-1돋보이고 싶다면 보이스와 톤을 정돈하자 3-2한국어 보이스와 톤에 영향을 미치는 네 가지 요소 3-3LINE의 보이스: 우리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따뜻한 목소리 4장 UI 컴포넌트별 텍스트 작성 팁 4-1UI 컴포넌트..

사용자 인터뷰(User Interview) 가장 보편적인 리서치툴 중 하나로 해결하고자 하는 논제, 인사이트를 얻기 위해 사용한다. 대표적인 정성적 조사 기법이기 때문에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얻어낼 수 있는 방법론이다. 인터뷰 진행시 대면으로 진행하며, 온 오프라인 모두 상관없다. 인터뷰 참여자가 서비스나 프로덕트에 대한 이해도가 조금 낮더라도 자세한 설명을 전달하며 진행할 수 있고, 진행자의 역량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인터뷰시 유의 사항은 참여자가 하는 답변은 정확한 기억으로 답변하는 것이 아닌 그때의 감정 또는 막연한 생각으로 답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억이 정확하기 않으므로, 순차적인 질문을 통해 깊이 있는 내용을 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 유저가 프로덕트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상황 또는 사용성에 대해 검증하는 테스트하는 것으로 어떤 방식으로 프로덕트를 사용하는지, 어려움은 없는지에 대한 부분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 진행 시기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은 오프라인 사용성 테스트의 장단점 장점 참가자와의 인터렉션이 가능하다. ( 참가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테스트를 진행하며 어려움을 느낄 때 힌트를 제공하거나, 질문에 답변이 가능하다. 해당 질문들 또한, 데이터로서 작용할 여지가 있으며 테스트 진행 후 간단한 인터뷰를 통해 더 깊이 있는 내용들을 알아낼 수 있다.) 참가자를 관찰할 수 있다. ( 최대한 프로토콜에 맞추어 진행하지만..

유저 리서치(User Research) 유저의 행동이나 패턴, 생각, 니즈, 원츠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프로덕트를 분석, 이해, 개선, 개발을 위해 사용한다. 목적 설정과 함께 가설을 설정해 리서치의 근거를 뒷받침하고, 결과와 대조를 통해 정확한 인사이트를 발견한다 리서치 준비하기 Preparing for Research 목적 설정 문제 해결을 위해, 리서치의 필요성이 생겼을 때 최우선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목적 설정을 하지 않았을 시에는 정확한 리서치 진행을 할 수 없다.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하기 위한 것이든, 문제 자체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든 목적은 다양하겠지만 그 스펙트럼이 넓으면 목적 달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본질이 흐려질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계획 수립 계획 수립 시 어떤 리..